지금 대한민국은?
•
불안하고 위험한 핵발전소
◦
국내 핵발전소 24기 중 12시는 활성단층이 있는 경주, 울산, 부산 등 대도시 인근에 분포. 2016년 경주지진 등 한반도는 지진안전지대가 아님에도 핵발전소의 내진설계는 부실함.
◦
한국수력원자력은 냉각수 무단 배출, 빈번한 가동중단 사고 발생이 있었음에도 불투명한 사후 대응으로 일관.
•
수십만 년간 지속될 재앙, 사용후핵연료
◦
사용후핵연료는 과포화 상대로, 현재 기술로는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안전한 처리방식이 없음.
◦
사용후핵연료는 2021년 기준 17,500톤이 존재하며, 별도의 보관시설 없이 핵발전소 근처에서 임시보관되고 있음. 만약 지상에 노출될 시, 반경 800km에 방사능 피해를 끼침.
•
핵발전은 비효율적 에너지
◦
재생에너지 증가로 전력망은 점차 탄력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핵발전은 대용량에 출력 조정이 어려운 비효율적 에너지임.
◦
재생에너지 확충하면 핵발전소의 필요성은 점차 줄어듦. 재생에너지 6.5%인 지금도 휴일, 주말에는 핵발전소 출력을 줄이고 있음.
◦
핵발전 감소는 정전으로 이어지지 않음. 2011년 9월 순환정전 사태 이후, 전력공급예비율은 충분함. 오히려 핵발전은 대규모 에너지로, 가동 중단 및 수리에 따라 대규모 정전을 야기하는 부담을 가짐.
오준호의 기본소득 대한민국은 이렇게 바꾸겠습니다
•
무늬뿐인 현 정부의 탈핵 로드맵을 재구성하겠습니다
◦
신규 핵발전소 건설을 중단하고, 실질적인 탈핵계획을 수립하겠습니다.
◦
원자력진흥법을 폐지하고, 핵발전에 대한 각종 정책적 혜택을 제거하겠습니다.
◦
핵발전위험부담금을 부과하고, 우라늄 발전원의 전력 가격을 다시 책정하겠습니다.
•
현행 가동중인 핵발전소에 대한 안전체계를 구축하겠습니다
◦
핵발전소의 안전성 평가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고, 3자 검증제도를 도입하겠습니다.
◦
핵발전소 사고나 고장 이후 재가동시, 주민 의견 수렴을 포함하는 타당성 검증을 의무화하겠습니다.
◦
사용후 핵연료 관리안을 보완하고, 핵발전 관련 액/기체 폐기물 배출관리를 개선하겠습니다.
◦
핵발전시설의 방재계획을 보충하고, 모든 핵발전소에 안전성 평가제도를 도입하겠습니다.
◦
활성단층에 건설된 12개 핵발전소에 대한 내진설계기준을 상향 조정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