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plicate
📶

전국민 무상 5GB 데이터 지급

분야
공공서비스
태그
통신

지금 대한민국은?

코로나 필수템, 디지털 통신서비스
코로나 이후, 주요 생활 서비스 부문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음.
2020년 기준 디지털 서비스 이용률: 생활정보(날씨·교통정보·길찾기) 85.2% 전자상거래(온라인 쇼핑·예약·예매) 64.1%, 공공서비스(민원서류 열람 및 발급) 35.4%
2021년 이동통신 가입자 1인당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10GB로, 2017년 대비 2배 상승. 코로나 이후의 비대면 확산이 주요 요인으로 보임.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통신서비스 접근권, 디지털 기기·서비스 이용 여부 비중에 따라 삶의 질 차이가 발생함.
비싸도 너무 비싼 스마트폰 통신비용
2012~2021년간, 이동통신 3사가 LTE(4G) 서비스로 벌어들인 초과수익은 18조 6023억 추정.
2021년 3/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가계 당 통신요금은 12만 8000원. 다른 소비항목지출이 하락 된 가운데 상승폭을 보임.
2020년 기준 가처분 소득 대비 통신비 비중은 4.5%로 OECD 국가 가운데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

오준호의 기본소득 대한민국은 이렇게 바꾸겠습니다

이동통신 가입자 1인당 데이터 5GB를 무상 제공하겠습니다.
디지털 전환 시대, 데이터는 필수재이자 공공재입니다. 데이터 무상제공으로 모두에게 기본적인 데이터 접근권을 보장하겠습니다.
「전기통신사업법」상 행정규칙의 ‘보편적 역무’에 이동통신 가입자 대상 전국민 데이터 공급을 추가하겠습니다.
‘보편적 역무 손실보상금 제도’에 따라, 정부가 통신사에 적절한 방식으로 비용을 할당하겠습니다.
이동통신요금을 합리적으로 낮추겠습니다.
요금인가제를 재도입하거나, 인가제 수준으로 ‘유보신고제’를 보완 및 강화가겠습니다.
요금인가제? 통신사가 새 요금제를 출시하기 전 정부에 요금 약관을 제출하고 이를 인가받도록 한 제도로, 통신시장의 지배적 사업자를 견제하기 위해 도입됨. 2020년 5월, 폐지되어 현재는 인가 대신 신고만으로 새로운 요금 출시가 가능한 ‘유보신고제’로 바뀜.
신고된 요금제를 검토하고, 반려절차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제도를 도입하겠습니다.